참고할 만한 기사가 올라왔기에 여기에 소개합니다.

 

지난 겨울 우리나라의 구제역 대처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예방적' 살처분이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만약 그러한 살처분이 있었다면 아래 기사에 소개된 2001년 영국의 살처분과 동일하게

 

효과 없는 살처분 조치를 취한 셈이 될 것입니다.

 

아래는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에서 작성한 기사 전문입니다.

 

 

========================================================================================================================

구제역 살처분 시점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해외과학기술동향 2011.5.9)

 

영국의 과학자들은 구제역의 감염기간이 생각되었던 것보다 짧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이것은 사전예방적 살처분의 필요성을 완화할 수 있다는 함의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놀라운 실험연구결과는 세계에서 가장 피해를 많이 일으키고 있는 동물질환 중에 하나인 구제역의 전파과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의 과학자들은 한 마리의 소에서 다른 소로 직접 전파되는 구제역에 대해서 특이한 실험세팅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다른 병원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구제역은 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환으로 농업분야에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다. 아프리카와 남미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의 확산에서 이 바이러스는 이미 유럽과 북미지역에서는 박멸된 구제역을 지속적으로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구제역은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를 위한 통제조치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001년 영국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대규모 살처분과 농촌지역의 이동제한조치가 취해진 바 있다. 그리고 2007년에 발생한 두 번째 구제역은 당시 실험실에서의 관리미흡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2001년 보다는 약한 정도의 통제조치가 취해졌다.

최근 학술지 ‘사이언스’지에 발표된 연구논문에서 연구자들은 2001년에 질병확산을 막기 위해 수행된 공격적인 살처분 정책은 필요한 것이 아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일단 감염된 가축이 다른 동물에게 전염될 수 있는 기회는 이전에 생각된 것보다 짧으며 좀더 중요하게 질병의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 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기간도 짧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007년 구제역 바이러스가 누출되면서 구제역 발생을 일으킨 서리 (Surrey)의 퍼브라이트 (Pirbright)에 위치한 동물보건연구소 (UK Institute for Animal Health)의 구제역 전문가인 브라이언 찰스턴 (Bryan Charleston)의 연구팀은 여덟 마리의 소들을 한 가지 형태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노출시켰다. 이들은 이 바이러스를 원래 감염된 소에서 바이오안전시설에 격리되어 있는 다른 소에게 감염시키려 했다. 그리고 그 동안 혈액샘플과 온도변화 그리고 동물에게서 나타나는 병변과 같은 복잡한 데이터세트를 조사했다.

찰스턴은 “실제 바이러스를 가지고 실험한 최초의 실험으로 우리는 추정치를 조사한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일대일 감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고 말했다. 28 차례에 걸친 시도에서 여덟 마리에 대한 감염이 성공했다. 이 연구팀은 임상적인 증상이 발생 한 후에 0.5일만에 감염이 이루어졌으며 감염기간은 평균 1.7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감염된 동물로부터 격리한 바이러스를 근거로 한 이전 추정치에 의하면 감염기간은 상당히 긴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찰스턴과 그의 공동저자들은 소는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감염될 가능성이 낮으며 이것은 구제역 발생과정에서 감염의 위험이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한 살처분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감염의 신호를 면밀하게 조사하는 것이 대신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2001년에 발생한 구제역에서 700,000마리의 소가 살처분되었다고 영국 에딘버러 대학의 전염병 역학자이며 공동저자인 마크 울하우스 (Mark Woolhouse) 박사는 말했다. 그는 “이들 살처분된 가축들 중에서 극히 소수만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영국 런던의 임페리얼 컬리지 (Imperial College London)의 수학생물학자인 닐 퍼거슨 (Neil Ferguson)은 구제역이 임상전에 감염되는지 여부를 놓고 논쟁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논문은 어떻게 감염된 동물이 어느 기간 동안에 감염되는지, 그리고 그 기능과 증상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연구논문이다. 이번 논문은 농가에서 감염에 대한 진단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대한 강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단속도의 증가는 실제로는 장비 및 인력동원의 측면에서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비록 2007년 구제역 발생은 2001년에 사용된 대규모 살처분을 피할 수 있었지만 2007년의 경우는 지리학적으로 좀더 격리된 상태였기 때문에 덜 공격적인 정책을 사용하여 질병의 전파를 막을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워릭대학 (University of Warwick)의 질병모델링 전문가인 매튜 킬링 (Matthew Keeling)은 또한 질병확산에 대한 예측을 통해서 개별 동물이 아닌 농가 단위에서 최상의 대응법이 무엇인가를 고려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연구는 초기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측면에 동의했다. 그는 “이번 연구는 매우 조심하고 관찰력이 예리하다면 매우 초기에 증상을 알아낼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찰스턴은 이번 정보를 얻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했지만 독감과 같은 다른 전염병에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에 구제역감염성에 대한 예측과 이번에 실험을 통한 연구결과의 차이점은 급성질환의 통제에 대한 정책결정에서 좀더 증거에 근거한 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번에 이루어진 선구적인 실험연구는 이 분야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지만 킬링은 이러한 일대일 감염연구는 쉽게 수행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덟 마리의 감염을 성공시키기 위해 투여된 노력은 엄청나다”고 밝혔다.

출처: ‘네이처’ 2011년 5월 7일
원문참조:
Charleston, B. et al. Science 332, 726-729 (2011).

키워드 : 구제역, 살처분, 감염

논문 출처 : http://www.nature.com/news/2011/110505/full/news.2011.269.html

 

========================================================================================================================


지킴이

2011.05.12 04:04:17

김기왕선생님. 이 자료에 의하면 예방적 살처분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야기로 들립니다. 저도 전문을 찾았습니다. 이 자료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서울대 박봉균교수는 이것이 실험실 결과이기 때문에 아직 기다려보아야 한다는 콤멘트를 올렸는데, 당장 다음에 구제역 방역대책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인지요? 아니면 예방적 살처분을 재고하여야 하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보도자료. 구타와 도살, 한국의 경마산업 최초 조사 영상 imagefile 관리자 2019-05-04 147190 1
공지 2018맹견등 시행령 시행규칙개정안 입법예고안 file 관리자 2018-12-10 126671  
공지 무허가축사적법화 이행기간 운영지침 imagefile 관리자 2018-02-22 133318  
공지 서울행정법원의 서울대학교병원 동물실험정보의 전면적 공개 판결을 환영한다. (보도자료, 성명서, 비교표 첨부) file 동물지킴이 2017-09-11 151857 1
공지 부처이관 참고자료 생학방 2017-06-04 176398  
공지 (긴급)동물보호법 교육프로그램 imagefile 동물지킴이 2016-12-17 153854  
공지 이정덕 교수님을 추모합니다 imagefile [2] 지킴이 2016-10-25 198758  
공지 2016 실험동물을 위한 희망프로젝트 imagefile [1] 관리자 2016-04-04 161017  
공지 비디오 시청: 조류독감: 우리가 자초하는 바이러스 생명체간사 2014-03-30 179879  
공지 2012년 생명체학대방지포럼 사업보고 imagefile 생명체간사 2013-01-01 198058  
공지 동물실험에 대한 수의학도의 증언 [3] 생명체간사 2012-02-20 207974 3
공지 7/22 목 포대에 남부대 홍교수님을 추천함 [2] 생학방간사 2010-03-06 260381 42
공지 동물보호법/조례소식은?( 2013년 10월 1일 심상정의원의원발의) 생학방 2009-09-25 216662 107
1813 채식정보 베지푸드 imagefile [1] rhgowj 2011-03-28 6482  
1812 공장식사육에 대한 반대. 반다나 시바, (영문) [1] 생명체학대방지포럼 2011-03-29 27981  
1811 정부의 가축질병방역체계 개선및 축산업선진화방안 내용 생명체 간사 2011-03-26 4411  
1810 생매장 공개시사기자회견안내 생명체 간사 2011-02-22 5933  
1809 모든 생명과 자연 환경은 올바로 보호받아야 한다. JWJ 2011-02-27 5393  
1808 김효석의원 가축사육환경 개선내용 동물보호법 개정안 발의 image [1] 생명체 간사 2011-03-04 5702  
1807 SBS동물농장의 중국모피 동영상 UP! 언제 내려질지 모르니 빨리 보세요. 미키 2011-02-21 9609  
1806 정부의 축산선진화방안 발표 생명체 간사 2011-03-24 4675  
1805 기업축산이 식량안전을 위협한다.(영문) 생명체학대방지포럼 2011-03-29 6947  
1804 [미국 기사1] 억제가 어려운 애니멀 호더 미키 2011-04-04 7920  
1803 애니멀호딩(과잉다두사육)… 그 실태와 대책 [1] 미키 2011-04-04 7107  
1802 구제역을 통해본 자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학술심포지움 4월 8일 생명체간사 2011-04-05 5766  
1801 애니멀 호더 (Animal hoarder)이란? 미키 2011-04-05 11030  
1800 [미국 기사2] 애니멀 호딩은 정신질환의 증상인 경우가 많다. [1] 미키 2011-04-07 8081  
1799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2011' 제10회 국제 지구사랑 작품공모전 환경실천연합회 2011-04-14 6451  
1798 동물실험의 모순을 여실히 보여주는 제약회사 광고 imagefile [2] 김기왕 2011-04-25 8514  
1797 구제역 재난 진단과 과제 지킴이 2011-05-09 4540  
1796 (시민환경연구소 논평) 지속가능한 축산의 전기를 마련해야 지킴이 2011-05-09 5178  
» 구제역에 관한 참고 연구 연구 자료 하나 [1] 김기왕 2011-05-11 4294  
1794 반려동물인 애완돼지 형통이를 좀 봐주세요*^.^* [1] 만사형통 2011-05-15 6307